Surprise Me!

가을 대유행 전조일까… 다시 짙어진 코로나19 그늘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

2022-07-23 32 Dailymotion

가을 대유행 전조일까… 다시 짙어진 코로나19 그늘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<br /><br />[오프닝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,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,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!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, 함께 보시죠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오프닝: 이광빈 기자]<br /><br />전 세계 코로나19 확진자가 다시 급증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기존 바이러스보다 전파력이 훨씬 강한 오미크론 하위변종의 확산과 각국의 방역 규제 완화, 백신 접종과 자연 감염으로 얻은 면역력의 약화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각국이 부스터샷 접종을 서두르는 가운데 휴가 시즌이 끝나는 올가을 다시 대유행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옵니다. 워싱턴에서 강병철 특파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오미크론 변종 '맹위'…전세계 코로나19 재유행 / 강병철 기자]<br /><br />지난 2일 영국 런던에서 수천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퀴어 축제,,<br /><br />코로나19 이후 3년만에 개최된 스페인 마드리드 인근 바예카스에서 열린 '물 싸움 축제'<br /><br />이들 축제 참가자 중 마스크를 착용한 사람은 찾기가 어렵습니다.<br /><br />세계보건기구, WHO는 유럽이 코로나19 재확산의 온상이 됐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올해 3월 정점을 찍은 후 감소세를 보이던 코로나19 감염 추세가 최근 한달 사이 심상치 않습니다.<br /><br />세계보건기구, WHO의 코로나19 통계에 따르면 전세계 신규 확진자 수는 지난달 11일 367만2천여명에서 지난 11일 554만4,천여명으로 약 33% 증가했습니다<br /><br />WHO는 미국 등 일부 국가에서 검사 건수가 준 탓에 확진자 수가 과소 집계된 것일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보다 많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비록 10만~15만명의 감염자가 보고됐지만 과소평가된 것이 분명합니다. 집에서 테스트를 하고 보고하지 않는, 가벼운 혹은 중간 정도 증상의 확진자들이 많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기존 백신이 형성한 면역력을 회피하는 오미크론의 하위변위가 감염자 수를 늘리고 있는 터에 이동이 많은 휴가철이 겹쳐 감염병이 유행하기에 '적절한' 환경이 됐다고 분석합니다.<br /><br />게다가 각국이 방역 규제를 사실상 해제한 데다 2년간의 '방역 피로감' 탓에 코로나에 대한 경계심도 바닥이 났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오미크론 하위변위인 BA.4와 BA.5가 우세종이 되는 것을 넘어 새로운 종으로 진화하고 있다는 겁니다.<br /><br />BA.5보다 전염력이 강한 BA.2.75 일명 켄타우로스가 지난 5월 초 인도에서 처음 발견된 이후 영국, 미국, 호주, 독일, 캐나다, 네덜란드 등 10여개국에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재확산 조짐에 각국이 마스크 의무화를 속속 재도입하고 2차 부스터샷도 서두르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 "여러분은 첫 번째 부스터 또는 두 번째 부스터를 받을 자격이 있습니다. 올해 백신 접종을 하지 않았다면 지금 바로 접종 받으러 가십시오."<br /><br />50세 이상과 일부 면역 저하자들에게 4차 접종을 허용하고 있는 미국은 모든 성인을 대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영국은 가을에 50세 이상 등을 대상으로 4차 접종을 합니다..<br /><br />다만, 현재 유행 중인 오미크론 하위변종을 막을 수 있는 개량 백신 보급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신종 변이를 막아줄 새 백신이 빨리 보급되지 않는다면 올가을과 겨울에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다시 한번 전 세계를 휩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 강병철입니다.<br /><br />[이광빈 기자]<br /><br />국내에서도 여름철 들어 코로나19 확산 곡선이 가파릅니다.<br /><br />방역 당국은 향후 확산에 대해 감당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, 전문가들은 자율방역만으로는 한계에 다다를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어떤 우려들이 있는지, 신새롬 기자가 이어서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신규 확진 '더블링'…여름 재유행 방역 비상 / 신새롬 기자]<br /><br />오미크론 대유행 후 감소세를 이어가던 신규 확진자 수의 '더블링' 현상이 시작된 건 이달 초입니다.<br /><br />7월 첫 주만 해도 1만 명대였던 확진자는 1주일 사이 2배씩 늘어, 8월 말 최대 28만 명 수준의 유행 정점이 올 것이라는 예측입니다.<br /><br /> "유행 예측 모델에 의하면 확진자 발생 규모는 8월 중 10만 명대로 증가할 수 있고, 8월 중순 내지는 8월 말에 25만 명 전후 수준의 유행 정점이 예측됩니다."<br /><br />위중증 환자는 800명, 1천여 명, 1600∼2천 명으로 예측됐고, 사망자는 하루 최대 140명까지 발생할 수 있다는 분석입니다.<br /><br />그럼에도 정부는 감당 가능하다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확보된 백신과 치료제, 검사역량과 의료 체계로, 확진자 통제보다 위중증 환자와 사망자 감축에 집중하겠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 "하반기 재유행 발생을 대비해서 지속해서 준비해 온 백신이나 치료제, 진단검사, 병상 등 대응 역량을 감안하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."<br /><br />하지만, 전문가들은 이미 일반병상으로 전환된 코로나 중증 병상 마련부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합니다.<br /><br /> "지금 우리 사회에서 부족한 건 위중증 환자의 대응 병상입니다. 이미 많은 (방역조치)들이 너무 심하게 완화된 상황에서 이렇게 확진자가 늘어나니까 단기간에 대응이 좀 어려운 상황이고…"<br /><br />예측을 상회하는 규모의 유행이 진행되거나, 오미크론 유행보다 더 많은 사망자가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겁니다.<br /><br /> "오미크론 유행 당시보다 더 많은 사망자가 나올 수 있죠. 유행의 규모는 조금 더 작은데 사망자는 더 많이 나오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"<br /><br />결국 더 적극적인 고위험군 관리에 나서야 한다는 결론입니다.<br /><br /> "고위험군에 대한 관리를 보다 입원 치료 쪽으로 조금 더 선제적인 어떤 대응책을 마련하는 게 실제로 위중증 환자 발생과 사망자 수를 줄이는 중요한 방안이 아닐까…"<br /><br />재유행에 대비해 4차 접종 대상도 늘렸지만, 낮은 참여율에 면역 ...

Buy Now on CodeCanyon